3월 2일(목) 기재부가 발표한' 2023.1월 산업활동 동향'에 따르면 우리나라 반도체 재고가 26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는 소식입니다. 이와 아울러 '23.1월 산업활동 동향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.
● (생산) 전산업생산은 전월대비 0.5% 증가 - 광공업(2.9%)과 서비스업(0.1%) 등에서 생산이 증가
● (소비)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2.1% 감소 - 음식료품, 의복, 승용차 등에서 판매가 감소
● (투자) 설비투자는 기계류 전월대비 1.4% 감소, 건설기성은 전월대비 1.8% 증가
● (경기)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.4p 하락,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.3p 하락
□ 전산업생산지수(계절조정·농림어업 제외) 전월대비 0.5% 증가
○ 전산업생산지수는 109.7(2020=100)로 전월보다 0.5% 증가했는데, 공공행정에서는 생산이 줄었으며, 광공업, 건설업, 서비스업에서 생산에서 생산이 늘어남.
- 전년동월대비로는 서비스업 및 건설업에서 생산이 늘었으나, 광공업 및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줄어 0.8% 감소함.
□ 광공업
○ 광공업 부분은 반도체(-5.7%) 등에서 생산이 줄고, 통신·방송장비(111.0%), 자동차(9.6%)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2.9% 증가로 나타남.
※ 통신장비는 휴대용 전화기, 휴대폰용 카메라모듈 등에서 생산 증가하였고 자동차는 하이브리드승용차, 기타 친환경차 등 친환경차 생산이 증가하였음.
-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(10.9%)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, 반도체(-33.9%), 화학제품(-23.6%) 등에서 생산이 줄어 12.7% 감소함.
□ 제조업 생산
○ 제조업 생산은 반도체, 기계장비 등에서 줄었으나, 통신·방송장비, 자동차 등에서 늘어 전월대비 3.2% 증가함.
-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, 통신·방송장비 등에서 늘었으나, 반도체, 화학제품 등에서 줄어 13.2% 감소함.
< 전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>
생산 증가 업종 | 생산 감소 업종 |
통신·방송장비(111.0%), 자동차(9.6%), 1차금속(6.7%) | 반도체(-5.7%), 기계장비(-6.1%), 전자부품(-2.8%) |
< 전년동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>
생산 증가 업종 | 생산 감소 업종 |
자동차(10.9%), 통신·방송장비(35.4%), 의약품(16.7%) | 반도체(-33.9%), 화학제품(-23.6%), 전자부품(-32.6%) |
□ 제조업 출하
○ 제조업 출하는 반도체, 기계장비 등에서 줄었으나, 자동차, 화학제품 등에서 늘어 전월대비 0.7% 증가함.
-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, 통신·방송장비 등에서 늘었으나, 반도체, 화학제품 등에서 줄어 9.8% 감소함.
○ 내수 출하는 전월대비 2.8% 증가, 수출 출하는 전월대비 1.8% 감소
- 전년동월대비로는 내수 출하는 6.6% 감소, 수출 출하는 13.6% 감소
< 내수 전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>
· 증가: 자동차(8.7%), 비금속광물(20.6%), 1차 금속(6.0%) 등
· 감소: 기계장비(-9.4%), 석유정제(-3.9%), 전기장비(-2.7%) 등
< 수출 전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>
· 증가: 자동차(11.0%), 전기장비(12.9%), 석유정제(11.1%) 등
· 감소: 반도체(-28.2%), 전자부품(-7.4%), 영상·음향기기(-45.3%)
□ 제조업 재고
○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2.6% 증가, 전년동월대비 10.0% 증가함.
< 전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>
· 증가: 반도체(28.0%), 통신·방송장비(22.6%), 전자부품(10.1%) 등
· 감소: 컴퓨터(-53.6%), 1차 금속(-5.0%), 화학제품(-3.8%) 등
< 전년동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>
· 증가: 반도체(39.5%), 자동차(32.9%), 기계장비(11.3%) 등
· 감소: 1차 금속(-6.2%), 화학제품(-4.4%), 전자부품(-15.3%) 등
□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
○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전월대비 0.5% 감소, 전년동월대비 1.2% 감소함.
○ 제조업 가동률지수는 반도체, 전자부품 등에서 줄었으나, 자동차, 통신·방송장비 등에서 늘어 전월대비 3.9% 증가
- 전년동월대비로는 반도체, 화학제품 등에서 줄어 13.6% 감소함.
○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0.9%로 전월대비 2.6% p 상승함.
□ 서비스업 생산 전월대비 0.1% 증가
○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‧보험(-5.0%) 등에서 줄었으나, 도소매(3.7%), 정보통신(3.1%)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.1% 증가함.
- 전년동월대비로는 전문‧과학‧기술(-1.3%) 등에서 생산이 줄고, 금융‧보험(10.0%), 도소매(5.4%) 등에서 생산이 늘어 5.9% 증가함.
< 전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>
· 증가: 도소매(3.7%), 정보통신(3.1%), 부동산(5.4%), 수도‧하수‧폐기물처리(14.8%), 보건‧사회복지(0.9%), 전문‧과학‧기술(0.9%), 사업시설관리‧사업지원‧임대(0.5%)
· 감소: 금융‧보험(-5.0%), 운수‧창고(-2.0%), 예술‧스포츠‧여가(-6.4%), 협회‧수리‧개인(-2.5%), 교육(-0.8%), 숙박‧음식점(-0.3%)
< 전년동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>
· 증가: 금융‧보험(10.0%), 도소매(5.4%), 운수‧창고(11.2%), 보건‧사회복지(7.5%), 숙박‧음식점(9.0%), 예술‧스포츠‧여가(12.5%), 사업시설관리‧사업지원‧임대(5.6%), 부동산(6.0%) 등
· 감소: 전문‧과학‧기술(-1.3%), 정보통신(-0.5%)
□ 소비판매 전월대비 2.1% 감소
○ 소매판매액지수는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(-1.9%), 의복 등 준내구재(-5.0%), 승용차 등 내구재(-0.1%) 판매가 모두 줄어 전월대비 2.1% 감소함.
- 전년동월대비로는 의복 등 준내구재(-5.8%), 가전제품 등 내구재(-3.5%) 판매가 줄었으나,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(3.9%) 판매가 늘어 0.7% 증가함.
○ (소매업태별 판매) 전년동월대비 무점포소매(-4.7%), 면세점(-37.6%), 전문소매점(-0.7%), 백화점(-2.5%)에서 판매가 줄었으나, 승용차·연료소매점(10.1%), 슈퍼마켓·잡화점(10.2%), 편의점(13.8%), 대형마트(4.3%)에서 판매가 증가함.
□ 투자 동향
○ (설비투자) 자동차 등 운송장비(15.9%)에서 투자가 늘었으나, 특수산업용 기계 등 기계류(-6.9%)에서 투자가 줄어 전월대비 1.4% 감소
- 전년동월대비로는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(-4.6%) 및 선박 등 운송장비(-1.7%)에서 투자가 모두 줄어 3.9% 감소
○ 기계류 내수출하는 금속가공(11.8%) 등에서 늘었으나, 기계장비(-14.9%) 등에서 줄어 전년동월대비 8.9% 감소
○ 국내기계수주는 운수업 등 민간(-2.2%)에서 수주가 줄었으나, 전기업 등 공공(70.0%)에서 수주가 늘어 전년동월대비 4.2% 증
○ 건설기성(불변)은 일반토목 등 토목(-10.3%)에서 공사실적이 줄었으나, 비주거용 등 건축(5.9%)에서 공사실적이 늘어 전월대비 1.8% 증가
- 전년동월대비로는 토목(-10.9%)에서 공사실적이 줄었으나, 건축(4.5%)에서 공사실적이 늘어 0.9% 증가
○ 건설수주(경상)는 주택 등 건축(-41.0%)에서 줄었으나, 기계설치 등 토목(237.5%)에서 늘어 전년동월대비 7.7% 증가
□ 경기 동향
○ (동행종합지수) 동행종합지수는 서비스업생산지수, 내수출하지수 등이 증가했으나, 소매판매액지수, 수입액 등이 감소해 전월대비 0.2% 감소,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.4% 하락
○ (선행종합지수) 선행종합지수는 장단기 금리차, 재고순환지표 등이 감소했으나, 건설수주액, 코스피가 증가하여 전월대비 보합 수준을 나타냈으며,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해 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.3p 하락
□ 마치면서
지금까지 2023년 1월의 산업활동 동향 보고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. 현재의 경기국면이나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경기동행지수 및 선행지수의 순환변동치가 모두 다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. 특히, 2월 수출액이 작년보다 7.5% 감소하였으며, 반도체 재고율이 2023년 1월 기준 265.7%로 1997년 3월(288.7%) 이후 26년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내고 있어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빨간불이 켜지고 있습니다. 반도체가 그동안 수출 주력품목이었음을 감안해 볼 때 올 상반기 경기 전망도 그리 밝지 않아 보입니다. 이와 관련하여 한국은행은 최근 경제전망에서 상반기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.3%에서 1.1%로 하향조정하기도 하였습니다.
'경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픽스가 대출금리에 미치는 영향 (5) | 2023.03.21 |
---|---|
골디락스(goldilocks)의 의미 (5) | 2023.03.12 |
환율, 환차익, 환차손 - 이제부터 이렇게 기억하세요. (6) | 2023.03.04 |
소비자물가지수와 금리의 향방 (4) | 2023.02.21 |
경제자유구역 현황과 혜택 (4) | 2023.02.03 |
댓글